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 

 

 

경복궁 생과방 체험하기

 

생과방은 생물방(生物房) 혹은 생것방이라고도 불렸는데, 조선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전각이었다.  이 행사는 관람객이 궁중의 약차와 병과를 맛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특별체험프로그램이다

 

 

1. 기간

2023년 4월 20일 ~ 2023년 6월 28일  (매주 화요일 과 5월 31일 미운영)

 

 

2. 운영시간

하루 4회 진행되며, 회당 약 70분 소요되며 32명씩 체험할 수 있다

1부  10:00 

2부  11:40

3부  13:50

4부  15:30

 

3. 장소

경복궁 생과방

 

 

4. 요금

- 1인당 참가비는 ₩15,000 이며 1인당 2매 까지 예매 가능하다

  (48개월 이상일 경우 일반인 1인과 동일한 티켓을 구매해야 하며, 48개월 미만일 경우 보호자와 동반하여 입장 가능)

- 할인정보 : 장애인 50%할인(1~3급: 본인 포함 2인  /  4급이하 : 본인 한정), 국가유공자 본인 한정 50% 할인, 증빙자료 지참 필수

- 사전결제 :  초두점증병 세트  ₩15,000 (약차 1종 포함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주악 세트  ₩12,000 (약차 1종 포함)

  * 현장에서의 궁중병과 및 궁중약차의 추가 주문 불가

 

생과방 예매하기

 

 

 

5. 프로그램

궁중병과 10종·궁중약차 6종 체험프로그램이다.

경복궁 생과방은 조선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전각이자 생물방(生物房) 혹은 생것방으로도 불렸던 생과방에서 관람객들이 궁중의 약차와 병과를 직접 맛볼 수 있는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이다.  특히 종조 19년(1795년)에 제작된 *『원행을묘정리의궤(園行乙卯整理儀軌)』 기록에 따라 낮에 올리는 다과상이 주다(晝茶)를 올리던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맞추어 행사를 진행한다

 

*원행을묘정리의궤(園行乙卯整理儀軌) : 조선 정조(正祖)가 화성으로 행차하여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인 현륭원(顯隆園)을 참배하고,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(惠慶宮洪氏)의 회갑연을 열고 다시 궁으로 돌아가는 8일간의 기록.  기록에 따르면 다과상을 올리는 때에 따라 조다(早茶 : 새벽), 주다(晝茶 : 낮), 만다(晩茶 : 늦은 오후), 야다(夜茶 : 밤)로 구분하는데, 낮에 다과상을 올리는 주다(晝茶) 때 가장 많은 종류의 병과(6~9종)가 올려졌다고 한다.

 

 

올해 2023년 행사는 *『조선왕조실록』, **『요록』 등에 기록된 ***궁중병과 10종과 궁중약차 6종으로 구성되었는데, 처음 선보이는 대표 궁중병과 '초두점증병'은 볶은 팥, 대추, 잣으로 만든 떡으로 ****『진찬의궤』, *****『진연의궤』에 의하면 궁중잔치와 고종의 ******오순(五旬) 축하 잔치에도 올려진 기록이 있으며, 대표 궁중약차 '경옥다음'은 옥처럼 희귀한 약을 뜻하는 '경옥고'를 차로 마실 수 있게 만든 것으로, 노화·만성피로·위장기능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*******『동의보감』 내경편의 처방에도 등장한 바 있다.

 

*조선왕조실록(朝鮮王朝實錄) : 조선 태조에서 철종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각 왕 별로 편찬한 사서

**요록(要錄) : 1680년경에 음식의 조리법·손질법·저장법에 대해 기록한 조리서

***병과(餠菓) : 떡과 과자

****진찬의궤(進饌儀軌) : 조선 후기 궁중에서 왕·왕비·왕대비 등에게 진찬한 내용의 기록.  진찬은 진연(進宴) 보다 규모가 작고 의식이 간단한 잔치

*****진연의궤(進宴儀軌) : 조선 시대에 나라에 경사가 잇을 때 궁중에서 베풀던 연회의 절차와 각족 의식에 관해 기록한 책

******오순(五旬) : 쉰 살.  오십세

*******동의보감(東醫寶鑑) : 조선시대 허준이 편찬한 의학서적

 

 

 

 

초두점증병세트 - 초두점증병, 약과, 참외정과, 잣박산, 매엽과, 곶감단지

 

 

 

주악세트 - 주악, 쌀엿강정, 매엽과, 금귤정과, 사과정과, 곶감단지

 

 

궁중약차 - 경옥다음, 삼귤다, 감국다, 담강다, 오미자다, 제호탕

 

 

 

6. 오는 길

지하철

- 3호선 경복궁역 5번 출구  도보 약 5분

- 5호선 광화문역 2번 출구  도보 약 10분

 

버스 : 종로 11번 버스 "법련사" 정류장

- 경복궁 남측  109, 171, 272, 601, 606, 1020, 9703

- 경복궁 서측  1020, 1711, 7016, 7018, 7212, 6011, 9703

 

주차

- 경복궁 동편 유료주차장 오후 10시 40분까지 이용 가능

 

 

 

7. 체험할 다른 프로그램

경복궁 수라간 시식공감

 

 

 

 

경복궁 둘러보기

 

덕수궁 둘러보기

 

 

 

 

반응형